"위험 감지된 펀드 환매 권유는 선량한 관리자 의무"

2023-08-30 dawon 23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이 증권사가 고객 손실 확대를 우려해 위험이 감지된 펀드 환매를 권유하는 일은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를 다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역할'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라임펀드 특혜성 환매 의혹과는 상관없는 발언이라고 선을 그었다.

서 회장은 29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기자실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쏟아진 라임펀드 재검사 결과 관련 질문에 답하며 이같이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4일 라임자산운용이 2019년 10월 대규모 환매 중단 선언 직전 다른 펀드 자금과 운용사 고유 자금을 이용해 다선 국회의원 등 일부 유력인사들에 환매를 해줬다고 발표했다. 해당 의원은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었다. 김 의원은 즉각 특혜가 아니라며 "미래에셋증권이 나를 비롯해 '라임마티니4호 펀드'에 투자한 16명에게 모두 환매해줬다"고 밝혔다. 이에 미래에셋증권의 환매 권유 배경에 관심이 쏠린 상황이다. 이후 금감원은 미래에셋증권이 투자자에게 일괄 환매를 권유한 이유를 검사하겠다고 나서 금감원의 '선 발표, 후 검사'도 도마에 올랐다.

이런 가운데 서 회장은 "판매사인 증권사는 자신이 판매한 상품의 숨은 리스크가 무엇인지 항상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고, 문제가 감지됐다면 선관주의 의무를 다하는 입장에서 환매나 손절 권유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시 환매 권유는 판매사인 증권사의 정상적 영업행위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하지만 미래에셋증권이 김상희 의원에게 펀드 환매를 권유한 것이 특혜가 아니라고 판단하냐는 질문에는 "증권사의 일상적이고 정상적 역할을 이야기한 것"이라며 "특혜 여부의 사실관계를 내가 알 수 있는 일은 아니다"라고 한발 물러섰다.

한편 서 회장은 최근 발생한 일련의 사태들로 인해 금융 소비자들의 불안이 높아지고 금융 신뢰가 하락하는 점을 우려하며, 일부 사기꾼에 의해 금융시장 전체가 부정당하고 불신받는 상황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서 회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사의 내부통제제도를 강화하고 검열을 높여 직원 윤리로 발생하는 사고는 스스로 없애야 한다"며 "시장 참여자인 운용사·판매사·투자자 3자가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의 행위에 대한 의사결정에 책임지는 구조가 확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