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연체율이 2%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16%에 근접했다. 금융권의 ‘약한 고리’로 꼽히는 연체율 증가에 대해 금융당국은 1조원 규모의 펀드를 가동하는 등 부실 우려에 대해 선제적으로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3월 말 기준 2.01%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1.19%) 대비 0.82%포인트나 상승했다. 같은 기간 부동산 PF대출 잔액은 130조3000억원에서 131조6000억원으로 1조3000억원 늘었다.
특히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 상승 폭이 가파르다. 지난 3월 말 현재 15.88%로 3개월 전(10.38%)보다 5.5%포인트 올랐다. 그간 몇몇 증권사는 부동산 시장 호황기에 브릿지론(사업 초기 토지 매입 및 인허가용 단기 차입금) 영업 등을 늘렸는데 부동산 경기가 꺾이며 일부 부실화된 여파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 잔액은 증권사 자기자본(72조4000억원)의 1.1%(8000억원)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증권사 전체 PF 대출 잔액 규모는 5조3000억원으로 다른 업권 대비 작아 한두 사업장의 부실이 연체율을 크게 끌어올리는 ‘착시’가 있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다른 업권의 부동산 PF 연체율도 전체적으로 올랐다. 여신전문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지난 3월 말 현재 4.2%로 지난해 말(2.2%) 대비 2%포인트 뛰었다. 저축은행도 같은 기간 2.05%에서 4.07%로 2%포인트 넘게 올랐다. 보험(0.6→0.66%), 상호금융(0.09→0.1%)의 연체율도 오름세를 보였다.
금융당국은 현재 연체율이 과거 위기 발생 당시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어서 관리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저축은행 사태’가 있었던 지난 2012년 말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연체율은 13.62%였다. 여기에 현재 66개 부동산 PF 사업장에 대해 신규 자금지원 및 만기연장 같은 정상화 작업이 진행 중인 만큼 연체율 상승 흐름이 시차를 두고 둔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시장에서도 현재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금융권 전반의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부동산 시장 회복 흐름이 미미한 가운데 지방 주택 시장 등 ‘약한 고리’도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손정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부동산연구센터 연구위원은 “과거 위기 상황과 비교하면 금융회사와 건설회사에 자본 여력이 있어 부동산 PF가 시스템의 위기로 전이 될 가능성은 작다”라면서도 “지방 아파트, 아파트 이외의 주택 시장 및 상업용 부동산 등의 수요 회복 부진 등 위험 요소가 여전한 만큼 향후 연체율 관리를 통해 일부 사업장의 위기가 시장 전반으로 확대되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오는 9월부터 총 1조원 규모의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를 가동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정상화 대상 사업장의 채권을 인수한 뒤 사업·재무구조 재편 및 사업비 자금대여 등을 통해 사업장 정상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현재 연체율이 과거 위기 발생 당시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어서 관리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저축은행 사태’가 있었던 지난 2012년 말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연체율은 13.62%였다. 여기에 현재 66개 부동산 PF 사업장에 대해 신규 자금지원 및 만기연장 같은 정상화 작업이 진행 중인 만큼 연체율 상승 흐름이 시차를 두고 둔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시장에서도 현재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금융권 전반의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부동산 시장 회복 흐름이 미미한 가운데 지방 주택 시장 등 ‘약한 고리’도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손정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부동산연구센터 연구위원은 “과거 위기 상황과 비교하면 금융회사와 건설회사에 자본 여력이 있어 부동산 PF가 시스템의 위기로 전이 될 가능성은 작다”라면서도 “지방 아파트, 아파트 이외의 주택 시장 및 상업용 부동산 등의 수요 회복 부진 등 위험 요소가 여전한 만큼 향후 연체율 관리를 통해 일부 사업장의 위기가 시장 전반으로 확대되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오는 9월부터 총 1조원 규모의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를 가동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정상화 대상 사업장의 채권을 인수한 뒤 사업·재무구조 재편 및 사업비 자금대여 등을 통해 사업장 정상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