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저신용자들이 전당포나 불법 사금융에 몰리는 건 그나마 제도권인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들이 대출 문턱을 높였기 때문입니다.
대출에 쓸 돈 마련하기가 쉽지 않은 데다 이용자 중에는 빚 제때 못 갚을 가능성이 큰 저신용자가 많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는 게 업체들 설명입니다.
이어서 손서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부업 시장 점유율 1위인 러시앤캐시, 올해 말 영업을 종료합니다.
대부업체 전체를 봐도 신규 대출액은 1년 전보다 81% 줄었습니다.
[대부업권 관계자 : "(기준금리가) 제로금리 시대에서 3%p 정도가 올랐으니까. 자금조달 비용은 올라가는데 캡(이자 상한선)이라고 할 수 있는 법정 최고 금리는 지금 막혀있지 않습니까."]
당장 저신용자들이 문제입니다.
[대부업권 관계자 : "손실을 안 보기 위해 심사를 더 까다롭게 할 수밖에 없고. 이대로 나가다가는 더 대출이 나가기 힘들 거예요."]
저축은행 상황도 비슷합니다.
이달 들어 가계 신용대출을 내준 저축은행 2곳 중 1곳은 신용점수 600점 아래인 저신용자들에게 돈을 빌려주지 않았습니다.
최근 연체율이 오르면서 부실 경고등이 켜진 탓인데, 실제로 올해 1분기 저축은행 연체율은 5.1%까지 상승했습니다.
소득과 신용점수가 낮고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취약차주의 대출 규모도 30% 넘게 증가했습니다.
저축은행이 대출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이들 금융기관에서는 자금을 끌어오기도 힘들다고 하소연합니다.
그래서 저신용자 대출 비율을 일정 수준 유지하는 업체엔 정부가 자금 조달을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조달금리가 1%p 오르면 2금융권에서 대출받을 수 있던 97만 명 정도가 불법 사금융 등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경고가 국책연구원에서 나올 정도입니다.
[김미루/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 연구위원 : "법정 최고 금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조달금리가 상승하면 소득수준이 낮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취약 가구가 비제도권 금융시장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큽니다. 법정 최고 금리를 다소 인상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돈 빌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 취약차주를 위해 지원책과 채무조정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