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모주펀드의 재발견

2021-03-08 dawon 22


공모주펀드에 대규모 자금이 몰리고 있다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역대급 공모주 시장이 열릴 것이라는 기대감에 투자 수요가 급격히 늘었다직접투자보다 펀드를 통한 간접 투자시 공모주를 더 많이 배정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로 공모형 공모주펀드 순자산은 최근 5조원을 넘어섰다작년말에 비해 2조원 가량 늘어난 셈이다국내 전체 공모주펀드 규모가 이 정도로 커진 것도 이례적이다더욱 주목할만 한 부분은 2개월 만에 증가한 규모라는 점이다.

공모주펀드가 이처럼 투자자들의 각광을 받는 건 얼마 되지 않았다그동안 공모주펀드를 주력상품으로 취급하는 자산운용사는 거의 없었다펀드매니저들 사이에서도 주식형펀드를 운용하면서 서브 전략으로 운용하는 펀드 중 하나에 불과했다.

주력펀드가 아니다 보니 운용역들이 바뀌는 사례도 빈번하다공모주펀드 매니저가 운용사 내에서 실력을 인정받으면 주식형펀드를 맡는 식이다펀드매니저가 자주 바뀐다는 건 그만큼 수익률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같은 분위기는 점차 바뀌고 있다이미 공모주펀드를 주력으로 하는 운용사로 수천억원의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에셋원자산운용은 2017년 출범 초기부터 공모주 투자를 핵심전략으로 삼고 있다지난 3년간 양호한 트랙레코드를 쌓으면서 최근 가장 ''한 운용사 중 하나로 떠올랐다.

또 다른 운용사에서는 공모주펀드 운용만 전담하는 매니저를 키우려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투자자들이 많아지자 운용체제를 한층 더 탄탄하게 만들기 위한 시도다특히 연간 70~80여개 공모주가 증시에 입성하는 만큼 투자기업을 선별하는 작업은 꽤 중요하다.

올해 공모주 시장이 역대급 호황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펀드매니저들의 역량이 한층 더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공모주 시장에 대한 한결같은 기대감이 공모주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투자기업 선별펀드 내 편입 비중 조절적절한 매도 타이밍 등을 찾는 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공모주펀드 성과가 엇갈릴 가능성이 크다더벨이 공모주펀드 운용사들과 핵심운용역을 조명하는 기획을 실시하는 것도 이같은 관점에서다.

지난해 국내 공모펀드 시장 규모는 커졌다세부적으로 뜯어보면 MMF(머니마켓펀드덕분이다투자처를 찾는 대기성 자금이 많았다는 의미다주식형펀드에서는 오히려 조단위 자금이 빠졌다이 와중에 공모주펀드가 모처럼 훈풍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위축된 공모펀드 시장이 재기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